profile
삼삼
🔥개척단🔥
1년 전

인공호흡기 기초편 1탄🫨 인공호흡기의 원리?

안녕하세요!

중환자실 교육전담간호사 삼삼입니다😙

이 내용을 할까말까 고민을 많이했는데요!

인공호흡기 적용환자간호를 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인공호흡기 원리, 각종 파라미터의 의미, 모드별 특징 및 감시해야할 사항에 대해 차근차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첫번째 시간은 인공호흡기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우리가 호흡할 때 음압으로 호흡하고 있다는 것 알고계신가요?
횡격막을 포함한 호흡근으로 인해 흉강이 넓어지면, 부피가 커지면서 내부 압력이 낮아지고 그로 인해 대기압보다 낮아져 외부의 공기가 폐 내부로 들어오게 됩니다. 이 과정을 흡기라고 합니다.
반대로 흉강이 좁아지게 되면 부피가 작아지며 내부 압력이 올라가 대기압보다 높아져 폐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게 됩니다. 이 과정을 호기라고 하죠!

그렇지만 인공호흡기는 음압호흡이 아니라 양압호흡 기전으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인공호흡기에 연결된 흡기라인(푸른 계열)으로 공기가 환자한테 들어가게 됩니다. 이 때 중간의 워터챔버를 통해 전달 되는데요.
이 워터챔버를 연결하는 가습기는 환자에게 전달되는 공기를 습하게, 따뜻하게 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우리가 코로 숨을 들이마쉬며 코 안에 있는 섬모를 통해 따뜻한 공기로 만들어지고코 점액분비로 습기가 있는 공기가 되지만, 인공호흡기를 가지고 있는 Endotracheal tube 및 Tracheostomy tube를 한 환자들은 코로 지나지않고 관을 통해 공기가 지나기 때문에 공기를 인위적으로 가온가습하여 공급해줘야 합니다.

그렇게 흡기라인에서 워터챔버를 통해 환자한테 공기가 전달되고 나면 세팅에 따라서 호기할 시간이 되면 인공호흡기 내부의 밸브가 열리며 폐 내부에 있던 공기가 호기라인(흰색계열 라인)으로 배출됩니다.
(인공호흡기 기계 내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것이 아닙니다.)

여기서 인공호흡기의 가습기(humidfier)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인공호흡기의 회로(circuit)에 가온 가습된 공기가 전달되다보면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물방울(결로)가 생기게 될 수도 있는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인공호흡기 회로 내에는 열선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첨부한 그림에 보이는 것처럼 분홍색 동그라미 부분에 열선을 연결하여 흡기와 호기 회로에 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그리고 공기가 전달되면서 온도가 떨어진다면 humidfier의 온도를 올릴 수 있도록, 적절한 온도의 공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보라색 동그라미 부분에는 온도측정 센서를 연결되어 있습니다.

가온 가습기가 적절하게 작동되려면 첫 번째로 충분한 물이 담겨있어야 합니다. 자동적으로 일정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지만 구조상의 문제나 적절한 시기에 주사용수를 교체해주지 않는다면 제대로 주사용수가 보충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을 잘 해야합니다. 또한, 생리식염수가 아닌 꼭 “주사용수”를 연결해야 합니다. 생리식염수를 연결한다면 회로 내부에 결정이 생겨 고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잘 확인하고 연결해줄 수 있도록 해야겠죠?

이와 같이 간단하게(?) 인공호흡기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인공호흡기의 각종 파라미터(FiO2, RR, PEEP, above PEEP, Trigger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공호흡기 회로 설치 방법과 pre-use check에 대해서는 동영상으로 보는 것이 도움될 것 같아 제가 좋아하는 유튜브 영상 링크 함께 첨부합니다!
https://youtu.be/EWWVccxyAPE?si=XN0HetxYB85qcCgH

감사합니다.
인공호흡기 기초편 1탄🫨 인공호흡기의 원리? - 제목_없는_아트워크.jpeg - 1인공호흡기 기초편 1탄🫨 인공호흡기의 원리? - IMG_5994.jpeg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