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edicKIM 입니다.
오늘은 제가 일하고있는 소화기 내과에서는 어떤 일을 하는지 말해보고자 합니다.
저희는 간암치료를 위한 다양한 시술 및 항암치료를 받으러 온 환자분들, 그 외에도 간이 안좋아져 합병증이 온 환자분들에게 간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간 합병증의 경우 복수, 황달, 정맥류로 인한 출혈, 간신증후군, 간폐증후군 환자분들의 케이스를 주로 볼 수 있고
시술로는 간암 진단을 위한 간 조직검사, 간암 치료를 위한 간동맥 색전술, 고주파 열치료, 항암요법 치료가 주된 케이스 입니다.
소화기내과 중 간담췌 파트에 입사예정이신 분들은 이 시술들만 미리 공부해가셔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간 조직검사 (Liver Biopsy)
간 생검이라고도 불리는 간 조직검사는 간종양의 종류 또는 간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술입니다.
간 조직을 경피적으로 삽입된 굵은 침을 삽입해 조직을 떼어내고 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질환을 효과적으로 진단합니다.
[시술 전 간호]
1. MNNPO (자정부터 금식) -> 흡인 예방을 위해 실시합니다.
2. Lt. arm 18G IV & Fluid -> 간은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 왼쪽에 line을 잡아야합니다.
3. PLT 50K 이상, PT 50% 이상 유지 (필요시 FFP or PC 수혈) -> 출혈 위험이 높은 시술로 lab Target 필요
4. 검사 이동 전 배뇨 -> 검사 후 4시간 침상안정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5. 동의서 확인
[시술 후 간호]
1. 시술부위를 압박한 자세로 4시간 ABR
2. 4hr NPO
3. 다음날 아침 CBC 확인
4. 복통 여부, 시술부위 출혈 유무 관찰
2. 경동맥 화학색전술 (TACE,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대퇴동맥을 통해 얇은 관을 삽입해 간에 도달하여 암이 있는 곳에 항암제를 주입하고 근처의 암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을 색전물질로 막아 암을 치료하는 시술입니다.
간암 치료의 가장 좋은 수술은 간절제 수술이지만 간기능 저하, 다발성 종양, 종양 주변 충분한 절제구역을 확보하지 못하는 등 수술을 위한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선택할 수 있는 시술입니다.
[시술 전 간호]
1. MNNPO -> 흡인 등 시술 중 안전사고 예방
2. 시술 전 약 중단 (메포민 시술 당일, 시술 후 48hr 중단 -> 신독성 예방, wafarin, clopidogrel 등 항응고제 중단)
3. Lt. Arm 18G~20G & Fluid -> 오른쪽 동맥으로 삽입하기 때문에 편의상 왼쪽으로 line 잡음.
4. PLT 50K, PT 50% 이상, INR 1.5이하 유지 -> 시술 후 출혈위험 예방
5. Rt. Femoral Artery 촉진 후 10cm 안쪽까지 면도 -> 감염 예방
6. 상하의 속옷 탈의, 색전술 바지 착의
7. Pre medi
- Pethidine 50mg + 5DW (clamping) -> 시술장에 가서 진통제를 틀기 때문에 잠궈둡니다.
- Palonosetron 0.25mg IVS -> 항암제로 인한 오심, 구토 예방
7-1. 조영제 알레르기 있을 시 시술 전 약 투약 (경증: chlorpheniramine 중증: Corti-solu)
7-2. 신기능 저하 시 Bivon 투약 (pre 1hr (체중x3)cc / post (체중)cc/hr로 6hr, total (체중 x 6)cc)
8. Both dorsalis pedis pulse(DPP) 확인 후 표시, dorsiflexion, plantar flexion(DF/PF) 확인-> 시술 전 후 맥박 강도 확인해 혈액순환 확인 및 운동이상 확인
9. 시술 가기 전 배뇨 확인
[시술 후 간호]
1. Special V/S (시술 후 즉시, 1시간 후, 그 후 4시간마다)
2. 지혈패드 사용 시 3hr ABR (시술 부위 샌드백 적용)
3. 시술부위 출혈, 부종, 혈종 여부 확인
4. DPP, DF/PF, 발 냉감 등 확인
5. Post Embolism Syndrome 확인 (PES, 색전후 증후군으로 오심,구토,통증,열 호소)
6. ABR 해제 후 배뇨 여부 확인 -> 3시간 이상 못 볼 시 CIC 시행
7. 시술 후 NPO 해제, 수분 섭취 2L 이상 권장
3. 고주파 열치료 (RFA, Radiofrequency Ablation)
초음파로 간암의 위치를 보며 경피적으로 전극을 삽입한 뒤 전류를 흘려 열로 종양을 직접 소작시키는 시술입니다.
경동맥 화학색전술에 비해 적은 시술로도 효과가 좋고 2cm 이하의 간종양에 효과적입니다.
검사 후 바로 CT를 촬영하여 시술이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시술 전 간호]
1. MNNPO
2. 시술 전 약 중단 (메포민 시술 당일, 시술 후 48hr 중단 -> 신독성 예방, wafarin, clopidogrel 등 항응고제 중단)
3. Lt. Arm 18G & Fluid
4. PLT 50K, PT 50% 이상 유지
5. 상의 속옷 탈의
6. Pre medi - Pethidine 50mg + 5DW (clamping) -> 시술장에 가서 진통제를 틀기 때문에 잠궈둡니다.
6-1. 조영제 알레르기 있을 시 시술 전 약 투약 (경증: chlorpheniramine 중증: Corti-solu)
6-2. 신기능 저하 시 Bivon 투약 (pre 1hr (체중x3)cc / post (체중)cc/hr로 6hr, total (체중 x 6)cc)
7. 시술 가기 전 배뇨 확인
[시술 후 간호]
1. 시술부위 압박한 자세로 4hr ABR
2. 복부 통증, 시술부위 출혈 관찰
3. 다음 날 CBC 확인
이렇게 소화기내과 간암병동의 대표적인 시술과 간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렇듯 간호사는 시술을 위해 필요한 검사결과 및 준비사항들을 확인하고 검사 후 필요한 간호를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간병변 관련 케이스의 환자들을 간호하고 있습니다.
간이 우리 건강에 관여하는 많은 요소들이 있어 생각보다 공부할 것도 많고
의사의 처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다보니 다양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그래도 소화기내과에 오시기 전 이 시술들만 외워가더라도 에이스가 될 수 있다고 자부합니다 ㅋ.ㅋ
소화기내과 꼭오세요~~(도망쳐)